본문 바로가기

Music

박정현 - 달아요 (듣기, 가사, 리뷰 ,뮤비)

https://youtu.be/QLR4qHrEl4Y

박정현 - 달아요

 

우... 참으려 해도 웃음이 나와 
샴페인이 터지듯.. 
좋아 낮은 목소리 장난스러운 그대 걸음도 

Oh you & I oh you & I 
왜 이렇게 왜 이렇게 좋아요 
I can see the sunlight in your eyes 
Everyday oh everyday 
웃게 해줄게 서툴겠지만 그댈 위해서만... 

그대 이름 혀끝에 녹아 내릴듯 달아요 
그댈 몰랐다면 몰랐어요 
이런 기분을 이런 행복을... 

Oh you & I oh you & I 
왜 이렇게 왜 이렇게 좋아요 I can see the sunlight in your eyes 
Everyday oh everyday 
웃게 해줄게 서툴겠지만 그댈 위해서만... 

생각만 해도 아파요 나를 떠나면 안되요 
그대 없었다면 없었어요 
이런 노래도.. 이런 사랑도.. 

Oh you & I oh you & I 
부끄럽게 간지럽게 이대로 
아무것도 숨기지 마요 
Everyday oh everyday 
믿게 해줄게 언제까지 그댈 사랑해요 

우 감추려해도 다 보이나 봐 햇살이 퍼지듯.. 
이런 바보같은 날 온 세상이 다 놀려도 좋아

 

<곡 소개>

싱어송라이터로 돌아온 우리 시대의 DIVA 
박정현 6집 < come to where I am > 

2007년 12월. 박정현이 2년 여 만에 정규앨범 6집 < come to where I am >을 발표한다.

데뷔 이후 발매되어 온 박정현의 정규앨범은 90년대와 2000년대를 이끄는 한국 대중음악 프로듀서 및 작곡가들의 역사교과서라 부르는 것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거물급 뮤지션들의 참여로 주목을 끌어 왔다. 김형석, 박근태, 신재홍, 황성제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음악 프로듀서들 뿐만 아니라, 정석원, 윤종신, 유희열, 김현철 등 self-producer로 자신의 음반을 발표하는 뮤지션의 참여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다양한 음악인들과의 교감을 통해 수준높은 음반을 발표해 왔다. 

하지만 정규앨범 6집의 < come to where I am >의 Staff credit을 읽다보면 이전 앨범과는 다르게 유명 프로듀서들의 이름이 아닌, 박정현 자신의 이름이 더 빈번하게 보이고 있다. 10년 동안 매 앨범마다 한 두 곡씩 자신의 자작곡을 앨범에 실어오면서 차근차근 아티스트로서의 궤적을 걸어오던 그녀가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싱어송라이터, self-producer의 모습을 선보이는 시작점에 있는 앨범이라 할 수 있다. 본 앨범에서 수록곡들의 작사, 작곡 뿐 아니라 앨범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음악적 방향에 참여하며 그간 쌓아온 음악적 내공을 마음껏 뽐내고 있다. 

그저 참여의 의미가 아닌 그 이상의 의미가진 결과물임은 본 앨범을 귀에 꽂고 들으면 느낄 수 있다. self-producing한 앨범을 내는 다른 아티스트들의 사례를 볼 때, 음악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실패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에 몰두한 나머지 예술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균형을 잃는 것이 큰 원인이다. 하지만 6집 < come to where I am >은 박정현이 지나온 자신의 궤적과 영역을 스스로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이 시점에서 대중들에게 새롭게 선보여야 할 모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편안한 캐주얼 차림으로 집 단장에 여념 없는, 6집 앨범 속 그녀 모습은 마치 < come to where I am >의 음악을 통해 가장 자신다운 모습을 보여주려 했음에 대한 표현인 듯하기도 하다.

보컬을 연출하고 부르는 것에 있어서 항상 한국 최고라는 찬사를 받아왔던 그녀의 목소리는 이번 앨범에서 자신이 직접 만든 곡을 만나면서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이전 앨범보다 한층 더 발전된 면모를 보이고 있다. 흡사 자신에게 잘 맞는 옷을 입어 더욱 맵시가 나는 것처럼. 또한 박정현은 이번 앨범을 통해 자신의 특기인 R&B부터 보사노바, 모던록, 클래식록까지 다양하고 새로운 음악적 스펙트럼을 마음껏 펼쳐 보인다.

타이틀곡인 < 눈물빛 글씨 >는 이번 앨범에서 박정현의 가창력을 가장 극대화하여 보여주는 R&B 창법의 발라드곡으로 매력적인 고음과 세련된 코러스가 인상적인 곡이다. 호소력 짙으면서도 섬세한 목소리는 아름답고 대중적 멜로디와 애절한 가사를 돋보이게 하고 곡에 풍부한 감성을 불어넣는다.

팝의 친숙함과 동양의 서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는 ‘박정현식 발라드’는 < 마음이 먼저 >, < 믿어요 > 등 다수의 곡에서도 만날 수 있다. 특히 데이빗 포스터의 음악을 떠올리게 하는 < 믿어요 >는 박정현이 정규 앨범에는 처음으로 수록했지만 이전의 공연에서는 영어로 노랫말을 붙여 팬들에게 여러 번 선보인 적이 있는 곡이다. 또한 이전 앨범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마이너 장르의 곡 < 우두커니 >는 슬픈 가사와 멜로디가 노래의 울림을 더욱 깊게 하는 감성적인 곡이다.

이미 수많은 라이브 공연무대를 통해 지치지 않는 최고의 가창력을 선보여 온 박정현은 6집 앨범 발표와 함께 단독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Into the New”라는 부제를 달고 12월 27일(목)부터 12월 31일(월)까지 연세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진행될 이번 공연은, 제목 그대로 새로운 음악으로 오랜만에 관객과 함께하는 만큼, 새로운 세상으로의 초대가 될 수 있을만한 ‘새로운’ 공연을 선보이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공연은 관객과 하나되어 공감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 싶다는 박정현의 바람에 따라 대규모의 체육관이 아닌, 관객과 더욱 가까이에서 소통할 수 있는 700여석 규모의 작은 공간에서 진행된다.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R&B의 요정’, ‘라이브의 여왕’ 등 최고의 평가를 받아오며 10년간 아티스트로서 정상의 자리를 꾸준하게 지켜온 박정현. 그간 쌓아온 물오른 내공이 잔뜩 응집되어 있는 이 작고 새로운 ‘음악상자’를 설렌 마음으로 열어 볼 시간이 드디어 왔다.

국내 활동에 만족하지 않고 일본에서 쇼케이스를 통해 일본 시장 현지 평론가들에게 “가창력과 표현력이 뛰어난 가수”라는 찬사를 얻고, 일본 TV TBS에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 < Romeo & Juliet >의 주제곡을 부르는 등 활발한 활동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그녀는 이제 이번 앨범을 무기로, 더 넓은 세상에서 그 재능을 펼쳐내기 위해 더욱 힘찬 날개짓을 할 것이다. 

 

-네이버 뮤직 출처-